-
정년 65세 시대, 2033년까지 단계적 확대 추진… 일자리·세대 갈등 논의 본격화
정부와 더불어민주당이 현행 만 60세인 정년을 2033년까지 만 65세로 단계적으로 올리는 법안을 연내 추진한다. 고령 인구 증가와 연금 재정 불안을 해소하고 숙련 인력을 유지하겠다는 목적이다. 그러나 청년층 일자리 위축과 기업 인건비 부담 등 부작용 우려도 커, 임금체계 개편과 세대 간 조정이 필수 과제로 꼽힌다. 정년 65세 시대는 단순한 숫자 변화가 아닌 사회적 대전환의 출발점이 될 전망이다.
2025-11-03 우경호
-
"노인 기준 70세 돌파…'더 오래 일하고 싶은 사회'가 온다"
서울시민이 생각하는 노인의 기준은 평균 70.2세로 나타났고, 정년연장에 찬성하는 비율은 87.8%에 달했다.
서울시가 발표한 2024 서울서베이 결과에 따르면 은퇴는 더 이상 일의 끝이 아니며, 많은 시민이 65세 이후에도 일과 취미, 소득활동을 이어가고 싶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4060세대에게는 은퇴 준비가 아닌 '노후 재설계'가 주요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1인 가구 증가, 건강수명 연장, 생활비 상승 등 복합적 요인 속에서 '일하는 노년'이 한국 사회의 새로운 표준으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
2025-04-11 이동원
-
퇴직 후 5년, 소득 공백을 메우는 가장 확실한 방법은? - 계속 일하면 월 179만원 더 번다
한국은행은 초고령사회에 대응하기 위해 고령층 계속근로 제도 확립이 시급하다는 보고서를 발표했다.
정년 연장만으로는 한계가 있으며, 퇴직 후 재고용과 임금체계 개편이 병행돼야 한다고 분석했다.
특히 65세까지 계속근로가 가능할 경우 향후 10년간 성장률이 최대 1.4%p 증가하고,
고령 근로자는 노인일자리보다 월 179만 원 더 높은 소득, 연금 월 14만 원 인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40~60대 중장년층에게는 은퇴’가 아닌 ‘재설계가 필요한 시대다.
2025-04-09 한우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