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톡 제공
APEC 직후 중국서 카카오톡 접속 재개 정황…교민 “VPN 없이 된다”, 대사관 “현황 파악 중”
— 2014년 차단 후 11년 만의 변화 가능성…정상외교 후속 효과 해석도
중국 일부 대도시에서 한국 메신저 ‘카카오톡’이 가상사설망(VPN) 없이 작동한다는 교민들의 증언과 현지 보도가 11월 4~5일 사이 잇따랐다. 베이징·상하이·선전 등지에서 모바일 앱을 통한 메시지 송수신과 사진·영상 전송이 가능하다는 전언이 확인됐고, 해당 정황을 전한 국내 매체는 주중 한국대사관이 사실관계를 확인 중이라고 전했다. 아직 중국 당국의 공식 해제 발표는 없다.
“모바일은 열렸고, 웹은 제한”…지역·통신망별 편차 가능성
교민들 사이에선 “주말부터 카카오톡이 열렸다”는 보고가 이어지고 있다. 다만 PC 웹버전 접속이나 외부 링크 전송 등은 일부 제한된다는 관찰도 있다. 보도들은 접속 재개의 범위와 지속성에 대해 “도시·통신망·단말 환경에 따라 편차가 있을 수 있다”는 점을 덧붙였다.
“정상외교 직후 변화” 해석…외교 성과론 vs. 신중론
이번 정황은 11월 1일 한·중 정상회담 직후 포착돼 관계 복원의 가시적 신호로 읽힌다. 스타트업·테크 매체도 “APEC 정상 주간 직후 중국 주요 도시에서 카카오톡이 VPN 없이 열린다”는 현장 증언을 전했다. 다만 중국의 네트워크 통제는 가변적이어서, ‘시험적 완화’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신중론이 공존한다.
카카오톡 제공
2014년 차단 이후 11년…정책 전환이면 의미 커
카카오톡과 라인은 2014년 7월 중국에서 차단됐다. 당시 중국은 테러 방지 조치를 이유로 한국 정부에 통보했으며, 이후 다수 해외 인터넷 서비스가 추가로 제한됐다. 이번 접속 재개가 정책 전환으로 확인될 경우 11년 만의 변화로, 교민·유학생·양국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 비용을 즉각 낮출 수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공식 확인’과 ‘지속성’ 검증
현재까지는 현장 접속 사실과 일부 매체 보도에 근거한 관찰 단계다. 향후 확인할 핵심은 △중국 당국 또는 주중 한국대사관의 공식 입장(전국 단위 해제인지, 특정 도시·망 한정인지) △조치의 지속성(일시적 테스트인지 상시 전환인지) △웹·링크 전송 등 부가 기능의 해제 범위다. 정상외교의 후속 조치로 공고화될 경우, ‘민(民)의 교류’ 확대라는 외교 성과로 자리매김할 가능성이 크다. 반대로 공식화가 지연되면 일시적 예외나 기술적 변동으로 해석될 여지도 남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