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트릴리언 페소 행진(Trillion Peso March)”…왜 필리핀 민심이 폭발했나
  • 장한님 편집장
  • 등록 2025-09-22 17:35:08
기사수정
  • 9월 21일 마닐라•전국 동시 집회, ‘치수(홍수방지) 비리’ 규탄
  • “계엄령 선포일(1972.09.21)과 겹친 상징성”

사진: Chlod



9월 21일 필리핀에서는 무슨 일이 있었나 있었나


9월 21일 마닐라 리살공원·에드사 등지와 주요 도시에서 “세금이 홍수 속으로 사라졌다”며 필리핀 시민 수 만 명이 행진하며 부패와 비리를 고발하는 시위를 했다. 대다수는 평화적이었지만 대통령궁 인근에서 일부와 경찰이 충돌했고, 최소 49명 체포(마닐라 경찰은 72명 체포로 집계)와 경찰 70명 안팎의 부상이 보고됐다. 시위 이름은 바로 트릴리언 페소 행진(Trillion Peso March). 시위 이름이 트릴리언 페소 행진이라고 붙은 이유는 이 시위가 거액(1조)이 연루된 반부패 시위임을 드러내기 위함이다. 

또 9월 21일이 1972년 마르코스 정권이 계엄령을 선포한 9월 21일과 같은 날이라 그 의미와 상징성이 더 컸다. 

 



 

정치 지형의 흔들림


비리 파장 속에 상원 의장 프란시스 에스쿠데로가 9월 8일 해임(교체)하원 의장 마틴 로물데스가 9월 17일 사임했다. 두 사람 모두 연루 의혹을 부인했지만 이 두 사람의 해임과 사임으로 의회 권력구도는 크게 요동치는 중이다. 

 



 

치수 비리’의 실체


‘치수 비리’의 핵심은 이렇다. 2022년 이후 정부가 추진한 홍수 방지·배수로 사업 9,855건, 총액 약 ₱5,450억(약 95억 달러, 한화로 13조 원)에서 이른바 유령 공사부실 시공, 특정 업체로의 예산 쏠림 의혹이 잇따라 드러났다. 특히 상위 15개 계약업체가 전체 예산의 약 20%를 가져갔다는 지적이 나오며 의혹은 확대됐다. 이어 상원 청문회에서는 한 건설업자 부부가 일부 의원과 관료가 계약 편의의 대가로 최대 25%의 ‘리베이트’를 요구하거나 수수했다고 증언해 분노에 기름을 부었다. 사태가 커지자 마르코스 Jr. 대통령은 독립조사위원회 설치를 발표했고, 법원은 다음 날 연루 의심 계좌와 자산의 동결을 명령하며 전면 조사 국면으로 넘어갔다.

 

 


 

필리핀의 시위가 한국에 미치는 영향


1) 한국-필리핀 인프라 협력·자금 흐름의 리스크

이번 스캔들 여파로 한국 정부의 일부 대형 대출/사업이 보류·재검토에 들어갔다. 예컨대 한국의 7천억 원(미화 5억 달러)대 차관 지원 검토가 ‘부패 우려’로 중단되며, 필리핀 측은 “정식 합의가 없었다”고 해명하는 등 파장이 이어졌습니다. 향후 한국수출입은행(KEXIM) 등 ODA·차관 사업의 투명성·컴플라이언스 기준이 더 강화될 전망입니다.

 

2) 무역·공급망 차질

한국의 대아세안 교역은 2023년 1,872억 달러. 인도네시아(광물·에너지), 필리핀(전자부품·관광), 네팔(노무·인적교류) 등과 얽힌 정치·사회 리스크는 한국 수출·투자와 직결된다. 지역 불안은 항만·물류 차질, 금융시장 변동성을 키워 부품 조달·납기에 영향을 줄 수 있다. 

 

3) 관광·사람의 이동

한국인은 필리핀 최대 관광객(2024년 176만 명 방문)을 보내는 국가이다. 치안 불안·대규모 시위 국면이 길어지면 여행 심리·보험료·항공편 운영에 영향이 미치지 않을 수 없고, 현지 한인사회·주재원 안전관리도 강화될 것이다. 

 

4) 정책·규범 파급

네팔·인도네시아·필리핀 모두 “특권·부패·경찰력 남용”이 시위 촉발 요인이라는 공통점이 있다. 한국 기업·기관은 현지 공공조달·정치자금·로비 규범의 급격한 변화(예: 자산 동결·특권 폐지·입찰 재검토)에 대비해 준법·내부통제를 재점검할 필요가 크다. 

 

TAG
1
홈플러스 부동산
쿠팡 파트너스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