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23일, 국회 문체위 자료 확인 보도를 통해 윤석열 전 대통령과 김건희 씨가 경복궁 건청궁 내 왕비의 침실이자 명성황후 시해 장소로 알려진 ‘곤녕합’에 경호 인원 없이 둘만 들어가 약 10분간 머물렀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당시 곤녕합의 문은 닫혀 있었고, “문을 열라”는 지시로 개방됐다는 정황도 함께 제기됐다. 문화재 사적 공간의 예외적 출입과 절차의 적정성, 국가유산의 사실상 ‘사유화’ 논란이 확산하고 있다.
보도에 따르면, 야간 관람 마감 무렵(오후 5시경) 윤 전 대통령 부부가 경복궁에 입장해 근정전–경회루 2층–향원정–건청궁 순으로 이동했고, 일반 공개가 제한되는 건청궁 구역에서 닫혀 있던 곤녕합 문을 “열라”고 해 내부로 진입했다. 이때 경호원과 직원 없이 두 사람만 곤녕합에 들어가 약 10분 머무른 것으로 전해졌다. 이 일련의 경위는 국가유산청 확인 자료를 토대로 국회 문체위가 파악했고, 복수 매체가 10월 23일 일제히 보도했다.
국가유산청 = 건청궁
곤녕합은 고종·명성황후의 생활공간인 건청궁의 핵심 전각으로, 명성황후의 침실이자 시해 장소로 기록된 곳이다. 보존·안전을 이유로 통상 상시 출입이 통제되어 왔으며, 제한적 특별관람으로만 부분 공개된다.(올해 10월 15~31일 기간·요일 한정 특별관람 운영) 이번 사례는 정해진 절차·허가 체계 밖에서 최고위 인사가 비공개 공간을 사적 동선으로 활용했다는 비판을 부르는 대목이다.
야권은 “왕비의 침실까지 ‘사적 공간’처럼 드나든 행위”라며 국가유산 사유화라고 비판했다. 반면 관리 주체의 내부 승인·안전조치가 있었는지, 또는 현장 재량으로 문이 열렸는지가 핵심 쟁점으로 부각된다. 현재까지는 언론 보도와 국회 확인 자료 수준으로, 관리기관의 공식 조사·해명과 책임소재 규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가유산청 = 근정전 어좌
최근 김건희 씨의 근정전 ‘용상’ 착석 의혹 등, 궁궐·국가유산 내 비공개·제한 구역 접근을 둘러싼 논란이 누적되어 왔다. 근정전 용상은 상징성과 보존가치가 큰 공간으로 외부인의 착석은 극히 이례적이라는 점에서 제도적 관리·통제의 적정성이 거듭 도마 위에 올랐다. 이번 곤녕합 단독 출입 정황까지 겹치며, 일관된 특혜 관행 여부를 따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국회 차원의 추가 자료 요구와 감사·수사 요구가 제기될 가능성이 높다. 관리기관은 당시 출입기록·CCTV·무전 로그 등 객관 자료를 공개해 사실관계와 절차 적정성을 입증해야 한다. 이번 사안은 단일 에피소드를 넘어, 국가유산 접근의 공공성 원칙과 절차적 투명성을 재정립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