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2025 노벨 평화상, 마리아 마차도.. 트럼프 수상 실패의 이유와 향후 그의 분노는?
  • 이시한 기자
  • 등록 2025-10-11 07:01:03
  • 수정 2025-10-11 07:43:24
기사수정
  • “민주주의를 위해 싸운 용기” 마차도, 노벨 평화상 영예
  • 트럼프는 왜 노벨 평화상을 받지 못했을까?

2025년 노벨 평화상, 베네수엘라 야권 지도자 마리아 코리나 마차도에게

 

수상자는 민주주의의 저항자, 마리아 코리나 마차도


배경과 초기 활동

마리아 코리나 마차도(María Corina Machado, 1967년 10월 7일생)는 베네수엘라 카라카스 출신으로, 산업공학 학위와 재무학 석사 학위를 갖고 있다. 그녀는 1992년 자선기구 Atenea Foundation을 설립해 카라카스 거리의 고아와 소년들을 돕는 활동을 벌였고, 이 경험이 사회 참여의 기반이 되었다는 기록이 있다. 

2001년 무렵에는 시민단체 Súmate 설립에 공동 참여했으며, 이 단체는 선거 감시, 투표 절차의 투명성 확보, 시민 교육 등을 주목적으로 삼았다.
Súmate 활동으로 인해 정부의 탄압 대상이 되기도 했고, 일부 혐의가 제기된 적도 있다.


의회 경력과 정치적 억압

2010년대 초반, 마차도는 국회의원 선거에 당선되어 미란다(Miranda) 지역구를 대표하는 의원으로 활동했으며, 2014년 이전까지 활동했다는 기록이 있다.
그러나 2014년 반정부 시위 국면에서 그녀는 의회에서 축출되었고, 정부는 그녀를 반역 등의 혐의로 조사하겠다는 입장을 보이기도 했다.

그 이후 베네수엘라 정부 기관은 2023년 6월 경 그녀에게 향후 15년간 공직 출마 금지 처분을 내렸고, 이는 2024년 1월 대법원 결정으로 유지되었다.
이로 인해 그녀는 공식적으로 대통령 선거에 출마할 수 없게 되었고, 야권 경선 이후 실제 후보는 그녀가 아닌 다른 인물이 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수상 근거와 위원회 평가

노르웨이 노벨 위원회는 2025년 노벨 평화상을 마차도에게 수여하면서 그녀가 베네수엘라 민주주의 인권 증진을 위해 헌신했고, 독재 체제에서 평화적 전환 가능성을 모색한 점을 높이 평가했다.
위원회 발표문에는 “소시민적 용기(civilian courage)” 표현이 등장하며, 그녀가 위협 속에서도 국내에 머무르며 활동한 점이 강조되었다.
후보자 등록 건수는 2025년 기준 338명, 그중 244명은 개인, 94개는 단체였다는 공식 노벨 위원회 발표가 있다.
시상식은 2025년 12월 10일 오슬로에서 열릴 예정이며, 수상자는 금전 상금, 메달, 증서 등을 받는다.


활동의 상징성과 한계

마차도의 활동은 베네수엘라 야권 운동의 상징적 얼굴로 자리잡았다. 특히 그녀가 경선에서 높은 지지를 얻었지만 정권의 제도적 제약에 막혀 공식 후보가 되지 못한 점이 많이 주목받았다.
그녀는 또한 선거 감시, 데이터 수집, 개표 투명성 확보 운동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정치 운동을 이어왔다는 보도도 존재한다.
다만, 일부 보도에서는 그녀의 스타일, 경제 정책 성향 등에 대해 비판도 존재하며, 야권 내부의 정치적 갈등 문제도 지적되는 점은 유념해야 한다.



2025 노벨 평화상 선정 및 트럼프 도전 실패 분석


선정 과정과 시점 제약

노벨 평화상 후보 접수 마감일은 2025년 1월 31일이었으며, 접수된 후보는 338명이다.
위원회가 수상자를 선정한 최종 결정은 10월 10일 발표된 것으로 알려져 있고, 일부 보도는 위원회가 평화상 결정을 이미 며칠 전 확정했다는 주장을 담고 있다.
예컨대 이스라엘-하마스 휴전 합의 등 국제적 사건들이 발표된 시점이 위원회의 내부 결정 시점 이후였을 가능성이 있다는 해석이 있기도 하다. 이 때문에 트럼프가 최근 발표했던 중동 중재 노력 등이 위원회의 심사 단계에 온전히 반영되지 못했을 가능성이 존재한다.


자질·전략 대비 위원회의 평가 기준

노벨 위원회는 평화 지속성, 인도주의적 가치, 도덕성, 폭넓은 국제적 공감력 등을 주요 기준으로 삼는다는 일반적 해석이 있다.
트럼프는 중동 휴전 중재나 분쟁 완화 주장을 해 왔지만, 그의 과거 정책 기조나 다자주의 회피 노선, 공약 실행력 부족 등의 요인이 전문가들 사이에서 비판 대상으로 거론되었다.
일부 보도는 트럼프의 공개 캠페인 방식, 노벨상 수상권 요구 발언 등이 위원회에 부담을 줄 수 있다는 시각을 제시하기도 한다.


정치적 메시지와 국제정세 고려

이번 수상이 권위주의 정권 하에서 민주주의 운동을 상징하는 인물에게 돌아갔다는 점에서, 위원회가 국제적 메시지를 염두에 뒀을 가능성이 높다는 해석도 나온다.
또한 위원회는 외압 개입 가능성을 경계하는 입장을 유지해온 전통이 있으므로, 공개 압력이나 로비 활동이 수상 결정에 직접적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고 단정짓기 어렵다.

 


트럼프의 반응 가능성과 전략 예측


여론전 및 비난 외교

트럼프 진영은 이번 결정이 “정치적 편향”이나 “비공정한 과정”이라는 논리를 중심으로 여론전을 벌일 가능성이 높다.
위원회나 노르웨이 정부 또는 유럽 정부를 향한 비판적 언급도 예상된다. 이런 방식은 지지층 결집과 국제적 관심 환기를 위한 수단이 될 수 있다.


외교적 압박 또는 보복 조치

미국 정부 차원에서 노르웨이 또는 유럽 국가들을 상대로 무역·관세 조치, 투자 제한, 무역 협상 조건 변경 등의 압박 가능성이 언급된다.
다만 이러한 조치는 국제법, 외교 관계, 경제 타격 등을 고려해야 해서 실행에는 제약이 클 것이다.


제도 비판 및 개혁 요구

트럼프 측은 노벨 평화상 제도 자체의 공정성, 투명성, 위원회 결정 절차 등을 겨냥한 비판 여론을 조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보 공개성 강화, 위원회 구성 개혁 등을 주장하며 제도 변화를 요구하는 전략이 될 수 있다.


장기 전략 전환

단기 반응에 그치지 않고, 향후 외교 행보를 강화하여 다시 수상 가능성을 노리는 전략을 쓸 수도 있다. 예컨대 중동·아프리카 등 분쟁 지역 개입, 평화 조정 역할 확대 등을 통해 국제적 이미지를 재구축하려 할 것이다.


리스크 요인

  • 강한 보복 조치는 역풍 또는 외교 마찰을 낳을 수 있다. 여론이 반발하거나 동맹국의 반응이 좋지 않을 경우 정치적 부담이 클 수 있다. 내부 지지층 및 당내 세력과의 균형을 유지해야 하는 현실적 제약도 있다.


1
홈플러스 부동산
쿠팡 파트너스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