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증시·코인 일제 급락... 트럼프 中에 100% 관세 예고
  • 전소연 경제 전문기자
  • 등록 2025-10-11 07:42:37
  • 수정 2025-10-11 07:47:47
기사수정
  • “다우 −1.9%, 나스닥 −3.6%…트럼프 발언이 시장의 판을 바꿨다”
  • “비트코인, 11만 달러선 붕괴…코인시장 ‘리스크 오프’”
  • “VIX 폭등…공포 지수, 최근 최고치 경신”


트럼프의 ‘중국 100% 관세’ 경고…미 증시·코인 동반 급락

현지시간 10월 10일(금)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의 희토류 수출 규제에 맞서 “11월 1일부터 중국산에 100% 관세를 부과하고, 핵심 소프트웨어 수출도 통제하겠다”고 예고하면서 자산 전반이 급락했다. 미 증시는 4월 이후 최악의 하루를 기록했고, 비트코인 등 암호화폐도 낙폭을 키웠다. 


뉴욕증시, 4월 이후 ‘최악의 하루’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878.82포인트(−1.90%) 급락한 45,479.60에 마감했다. S&P500은 182.60포인트(−2.71%) 내린 6,552.51, 나스닥은 820.20포인트(−3.56%) 떨어진 22,204.43에 거래를 끝냈다. 3대 지수의 하락률은 4월 10일 이후 가장 컸다. 소형주 지수 러셀2000도 3.0% 하락했다. 


반도체·중국 노출주 ‘직격탄’

중국 희토류·자원 통제 장기화 우려가 반도체에 직격탄이 됐다.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SOX)는 6.3% 급락했다. 미 증시에 상장된 중국 빅테크도 추락해 알리바바·JD닷컴·PDD 홀딩스가 5.3~8.5% 하락했다. 퀄컴은 중국의 반독점 조사 보도 이후 7.3% 밀렸다.


공포지수 급등, ‘데이터 공백’ 겹쳐 변동성 확대

시장의 공포심리를 반영하는 VIX는 6월 19일 이후 가장 높은 종가를 기록했다. 미 연방정부 셧다운으로 공식 경제지표 발표가 지연되며 ‘데이터 공백’이 커진 가운데, 투자자들은 연준 위원의 발언과 다음 주부터 시작될 대형 금융주의 실적 시즌에 촉각을 곤두세우는 분위기다. 



암호화폐, 비트코인 ‘11만 달러’ 붕괴

암호화폐도 ‘리스크 오프’ 흐름에 급락했다. 비트코인은 장중 11만 달러 선이 무너졌고, 24시간 기준 낙폭이 10% 안팎으로 확대됐다. 이더리움은 한때 3,700달러 아래로 밀리며 약 16% 하락, 솔라나는 200달러선 부근까지 내려앉았다. 파생 포지션 강제정리(청산)는 코인데스크 집계로 약 65억 달러에 달했다. 


무엇이 시장을 흔들었나: ‘11월 1일 100%’의 파장

트럼프 대통령은 트루스소셜에 “중국의 전례 없는 조치에 대응해 11월 1일부터(또는 더 이른 시점) 현재 부과 중인 관세에 더해 100% 관세를 부과하겠다. 동일 시점부터 모든 ‘핵심 소프트웨어’에도 수출통제를 적용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3주 뒤로 예정된 시진핑 주석과의 회담을 할 이유가 없다”고도 언급했다. 해당 발언이 전해지자 위험자산 전반에서 ‘선매도·후평가’가 확산했다. 


공급망 민감도 높은 섹터가 먼저 흔들려

희토류는 전기차 모터, 항공기 엔진, 레이더 등 전략 산업의 필수 소재다. 중국은 가공 희토류 및 자석에서 압도적 점유율을 갖고 있어, 수출 규제 강도가 높아질수록 미국과 동맹국의 첨단 제조 공급망 병목이 심화될 수 있다. 이 시나리오가 반도체·전장·방산 등 ‘민감 업종’의 주가 급락으로 직결됐다. 



‘말 폭탄’인가, 실행인가…두 갈래 시나리오

시장 컨센서스는 두 갈래로 갈린다. 첫째, 과거와 유사한 ‘협상용 최고수위 발언’ 후 수위 조절 시나리오. 이 경우 단기 쇼크 이후 업종별 차별화 랠리가 재개될 수 있다. 둘째, 관세가 실질적으로 발효되고 소프트웨어 수출통제까지 맞물리는 ‘실행’ 시나리오. 이때는 미·중 디커플링 가속화로 기술·소비재·자본재 전반의 이익 추정치 하향과 밸류에이션 리레이팅(하향)이 불가피하다. 11월 1일 전까지 중국의 대응(보복관세·추가 규제), 백악관·의회의 내부 조율, 동맹국 공조 강도가 핵심 변수가 된다. 


투자자 체크포인트

첫째, 실적 시즌 가이드. 대형 은행들의 3분기 실적과 전망은 신용스프레드·대출태도·거시전망을 가늠할 조기 신호다. 둘째, 연준 커뮤니케이션. 인플레와 경기둔화 사이에서의 균형, 변동성 확대 시 유동성 스탠스 변화 여부를 주시할 필요가 있다. 셋째, 체인·현물의 수급. 암호화폐는 청산 압력 해소와 현물 ETF 자금 유입 추이를 통해 반등 탄력이 달라질 수 있다. 넷째, 중국 ADR·반도체. 규제 이벤트(예: 퀄컴)와 공급망 뉴스플로가 직접적인 가격 변동을 키우고 있어 개별 이슈 리스크 관리가 요구된다.

0
홈플러스 부동산
쿠팡 파트너스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