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3월 28일, 미얀마에서 발생한 규모 7.7의 강진은 국경을 넘어 태국 방콕까지 강한 흔들림을 몰고 왔다. 수도 한복판, 건설 중이던 30층 고층 건물이 단 몇 초 만에 잿더미로 붕괴되며 현장에 있던 수십 명의 인부들이 순식간에 매몰되었다. 이 건물은 방콕 시내에서 유일하게 전면 붕괴된 사례로, 현재까지 최소 19명이 사망하고 70여 명이 실종된 상태다.
무너진 건물은 태국 정부가 추진하던 ‘국가감사청 신사옥’으로, 태국의 이탈리아-타이 개발사와 중국 국영기업인 중국철도10국이 함께 시공 중이었다. 문제는 이번 사고가 단순히 지진 때문만은 아니라는 점이다. 현장에서는 시공 자재로 사용된 철근이 비정상적으로 다양한 종류였다는 정황이 포착됐고, 일부 중국인 근로자들이 건설 관련 서류를 몰래 반출하려다 경찰에 적발되는 일도 벌어졌다.
태국 정부는 즉시 진상조사위원회를 꾸려 사고 원인 규명에 착수했다. 설계 단계부터 인허가, 자재 납품, 시공, 안전 점검까지 전 과정을 면밀히 살피겠다는 입장이다. 현지 언론은 철근 두께, 품질, 시공 방식 등에서 기준 미달 정황이 있다고 보도했으며, 산업부 장관 역시 “의심스러운 점이 발견됐다”며 조만간 과학적 분석 결과를 발표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사건은 태국 내 건축물 안전성에 대한 경각심을 크게 키우는 계기가 되고 있다. 특히 수도 방콕은 이미 초고층 개발이 활발한 도시 중 하나로, 유사 사례 재발 방지를 위한 규제 강화가 불가피해 보인다. 한편, 사고 후 구조 작업은 계속되고 있으나 생존자 발견 가능성은 점점 낮아지고 있다. 가족들은 현장을 떠나지 못한 채 구조 소식을 기다리고 있다.
이번 참사는 고층 건축 붐이 이어지고 있는 한국에도 중요한 시사점을 남긴다. 국내에서도 최근 복합쇼핑몰, 오피스텔, 타워형 오피스 등 30층 이상 고층 건축물이 빠르게 늘고 있다. 전문가들은 태국 붕괴 사고처럼 예상치 못한 자연재해나 시공 과정의 허점이 중첩될 경우, 한국에서도 유사한 대형 사고가 일어날 수 있다고 경고한다.
특히 한국의 50대 이상 중장년층은 현재 주택 자산 비중이 높은 반면, 내진 설계나 주택 안전 관리에 대한 이해도와 대비는 낮은 편이다. 전문가들은 “주택이나 거주 건물이 노후됐거나 구조적으로 취약한 경우, 주택연금 등 자산 활용뿐 아니라 안전 진단과 리모델링도 병행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한편, 이번 태국 사고는 한국 건설업계에도 반면교사로 작용하고 있다. 실제로 국내 일부 대형 건설사들은 최근 고층 건물 안전 강화 대책 마련에 착수했으며, 건축자재 원산지 및 인증 절차에 대한 내부 감사를 강화하고 있다. 건축 행정 측면에서도 설계 승인 절차의 투명성과 감리 책임 강화 등이 요구되고 있다.